행정고시 과목별 공부방법 및 교재
제가 공부한 방법이 절대 최선이 아님을 말씀드리고 그냥 예시로써 봐주세요 ㅠ
개인적으로는 행정법을 가장 고득점했고 그 다음이 경제학과 정치학입니다.
경제학을 제일 잘 봤다고 생각했는데 암튼 의외였음.
(득점 순위를 말씀드리는 이유는 아래 과목별 공부방법론에서
행정학과 정보체계론은 크게 도움이 안되실 수도 있을거 같아서 입니다.)
공부방법에는 사실 One best way가 없는것 같습니다.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공부법을 선택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은 합니다만
이건 순전히 참고용으로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2010년 수험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1. 신림동에서의 생활
신림동은 공부하기도 좋지만 놀기도 좋아서 폐인되기에 딱인 동네입니다.
같이 공부하는 '성실한' 친구가 있으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상당한 의지로 스스로를 자제시켜야 합니다.
(밥터디를 하는 것도 좋긴한데, 밥터디 멤버가 상당히 복불복이라서 이것도 적극 추천드리기는 조심스럽네요.)
안그러면 하루종일 침대에 누워서 노트북으로 미드나 보고 무도 회당 10번씩 보기 신공을 쓰게됩니다.
개인적으로는 같이 공부하는 '성실한' 친구가 2명이나 있어서
절제안되기로 유명한 제가 수험을 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3순환을 듣던 시기에 제 생활패턴은
0630 ~ 0650 기상 및 세면
0650 ~ 0700 아침사서 학원으로
0700 ~ 0800 아침먹으면서 목차만 잡아서 행정법사례 풀기(2개)
0800 ~ 0900 3순환 시험
0900 ~ 1230 3순환 강의
1230 ~ 1300 점심먹으면서 신문보기
1300 ~ 1400 학원강의 들은거 좀 보다가 낮잠
1400 ~ 1800 스터디 (150점 분량 : 2과목)
1800 ~ 1900 저녁먹고 한숨잠
1900 ~ 0100 메인 공부시간
0100 ~ 0130 샤워하고 하루정리
0130 ~ 0200 누워서 노트보다가 잠
전 아침에 잘 못 일어나서 후배가 항상 제 방에 저를 깨우러 왔습니다. (고맙다 ㅠㅠ)
이렇게 4개월간 공부하니까 6월2째주 쯤에는 지쳐서 스터디도 못나가고 방안에서만 공부했습니다.
제가 좀 오버 페이스를 한것 같아요. 근데 이번에는 2차 준비기간이 작년보다 3주가량 짧으니까 가능할 것도 같네요.
2. 경제학
제가 일행주제에!!ㅋ 경제학 공부방법론을 말씀드리는게 좀 부끄럽지만 ///ㅅ///
경제학과이기도 하고 ^^; 나름 열심히하는 과목이기에.. 말씀을 쬐끔 드리자면
경제학은 문제를 많이 푸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김진욱/황종휴 선생님의 500제와 3순환 및 4순환 문제 등은 강의 듣는 선생님뿐만 아니라 다른 강사분의 문제도 구해서 풀어야하죠.
사실 교과서 연습문제도 많이 푸는데 이게 500제에 거의 다 들어가 있어서 따로 연습문제 풀려고 책사는건 비추입니다.
하지만 경제학을 이제 막 시작하시는 분이라면 자신이 보는 주교재를 정독하시고 주교재에 있는 연습문제를 꼼꼼히 풀면서
실력을 키우시는게 좋습니다.
처음부터 무턱대고 문제를 푼다거나 바로 500제를 잡고 시작하면 지칩니다.
Tech
1. 주교재 정독
2. 연습문제 풀이
3. 학원강의와 병행하여 스터디 진행
4. 개인적으로 500제 해결
교재
1. 미시경제학 : 이준구著, 성백남著, 이영환著
2. 거시경제학 : 정운찬著, 이우헌著
3. 보조교재 : ZIP시리즈, 김진욱 500제, 황종휴 500제, Sub(필기자료)
3. 행정법
아 처음에 행정법 시작할 때는 정말 법률용어들이 어찌나 생소한지 수도없이 빡을 쳤었죠 ㅋ
기본강의를 한번들어서 이해 안되시는 분들은 인강을 신청하셔서 여러번 듣던지 아니면 둠강을 사셔서 여러번 듣던지 하시는게 좋습니다.
저도 김기홍 선생님 1순환을 여러번(3회 정도) 반복해서 들었거등요 ㅠ
그렇게 학원강의를 들으면서 진도나가는데로 교과서를 읽으니까 교과서도 잘읽히고 서서히 이해가 오는듯 했습니다.
이때쯤해서 개인적으로 서브랍시고 행정법의 기본이라든지 쟁점에 대해서 정리자료를 만들었습니다.
그 손바닥만한거 있잖아요?? 링으로 쑉 정리할 수 있는 그거 ㅋ 그래서 막 걸어다니면서 보고 그랬어요. 남들이 보면 진상작렬 ㅋㅋㅋㅋ
저는 쓰면서 공부하는 타입이라 이런 방법이 좋았던거 같네요.
이런게 익숙해지면 그때부터는 사례해결이 가능해집니다.
행정법도 경제학이랑 비슷한게 이론을 안다고 문제를 풀 수 있는게 아니라서 사례도 많이 풀면 풀수록 좋습니다.
전 사례집을 3권 풀고 김기홍 선생님 CASE BOOK도 풀었는데 확실히 많이 푸니까 시험에서 다양한 쟁점을 쓰게 되더라구요.
그래서 그지같이 봤다고 생각했는데 행정법이 가장 고득점 했습니다.
다양한 쟁점을 기술한것에 대해서 교수님이 불쌍해서 점수주신듯 ㅋ
Tech
1. '학원강의를 들으면서' 진도별 교과서 정독
2. 중요 쟁점 및 논리구조를 지속적으로 암기 (쟁점노트 작성)
3. 사례해결
교재
1. 주교재 : 홍정선著 '행정법특강'
2. 보조교재 : 김기홍著 '쟁점정리', Sub (쟁점필기자료)
3. 사례집 : 김연태著, 박정훈著, 이재화著, 김기홍 CASE BOOK
4. 행정학
행정학은 저도 이번에 정말 못봐서 무슨 공부방법을 말씀드리기가 좀 그러네요 ㅠ
근데 스터디할때는 스터디원들이 저보고 행정학을 젤 잘한다고 빈말(?)을 많이 해줬는데 ㅋ
실제 점수 보니까 진짜 좌절 OTL 초시때보다 못봤습니다 ㅋ
이번에 같이 스터디한 형님이 행정학을 63점 받으셨는데 그 형님은.
일단 교과서를 정말 많이 읽으시더군요. (워낙 속독을 하시는 분이시긴한데 일주일에 한국행정학을 2회독하시고;;)
그리고 아주 꼼꼼한것까지 다 외우셨는데 그게 복식부기 발생주의회계 같은 문제에서 큰 도움이 된거 같다고 하셨어요.
(T-Table에 들어가는 사항까지 완전 다 쓰셨다고 하셨어요;;)
그리고 중요한 사례는 한장에 정리에서 마지막날에 외우라고 스터디원들한테 나눠줬는데 좋았어요.
(그만큼 평소에 사례를 수집하고 있으셨다는 반증이 될 듯)
저는 꼼꼼하게 외우기 보다는 서론 결론을 간지나게 써서 주목을 받는다는 작전이었는데 대실패 ㅠ
그리고 스터디에서 한명씩 맡아서 각론 쟁점들을 B5에 정리해오는 숙제를 일주일에 2번씩 했었는데
이걸 나중에 정리하고 보니 거의 모든 각론 쟁점들을 정리할 수 있어서 따로 서브를 안만들어도 됐어요.
막판에 암기할 때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만 점수는 ㅠ
Tech (*스터디 형님이 말씀하신 테크입니다.)
1. 교과서를 정독하며 전체적인 흐름을 익힘
2. 보조교재나 서브등을 통해 각종 세부사항을 암기
3. 스터디를 적극활용하여 각론자료 및 사례자료를 완성
교재 (*이건 제가 본 교재입니다.)
1. 주교재 : 유민봉著 '한국행정학', 이종수著 '새행정학'
2. 보조교재 : 박경효著 '재미있는 행정학', 스터디원들이 합심해서 만든 Sub자료
3. 사례집 : 테마행정학 사례집
5. 정치학
정치학은 재미있는 과목입니다 :) 직렬 선택에 고민을 정치학에 두시는 분들은 쫄지마셍뇨 ㅋ
정치학은 정원준 선생님의 강의를 들으면서 상당히 재미를 붙였습니다.
첫해에는 오전에는 정원준 선생님 정치학을 인강으로 듣고 오후에는 강제명 선생님 3순환을 따라가는
미친 정치학 올인 신공을 펼쳤습니다. (제가 재경직을 준비했던 터라 정치학에 대한 아무지식이 없었거든요 ㅠ)
2010년에는
일단 강의자료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제 서브를 기반으로해서 논문을 많이 읽었습니다.
그리고 모르는 부분이나 서브에 부실하게 기술되어 있는 부분은 교과서를 새로 꺼내서 읽는 방법을 선택했습니다.
정치학은 단권화된 교과서가 시중에 없으므로 (강사 자료는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만드는게 가장 속편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가장 좋았던것 중 하나는 행정학 각론 자료 정리와 같이 정치학 논문 정리를 했습니다.
일주일에 한번 토요일 스터디가 끝나면 그 주에 정했던 논문 2편을 B5용지에 정리해와서 서로 나눠 읽고
서로의 생각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런 시간을 통해서 제가 알고 있던 잘못된 논리구조라든지 좋은 생각들을 많이 차용하게 되었습니다.
Tech
1. 강의를 들으며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 강의와 무관하게 관련 서적들을 지속적으로 정독.
2. 강의와 교재들을 기반으로 개인적인 서브자료를 완성.
3. 스터디를 적극활용하여 논문자료를 작성하고 개인적인 견해를 정리.
4. 막판에는 정원준 강사의 문제를 보고 모범답안을 통독.
(정원준 강사는 모범답안을 실제 자신이 쓴 글로 배부해줘서 좋더라구요.)
교재
1. 주교재 : 고경민著 '현대정치과정의 동학', 강정인著 '서양근대정치사상사', 최장집著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서울대共著 '정치학의 이해'
윤현석著 '국제정세의 이해'
2. 보조교재 : 강제명著 '정치학 요약집', Sub (필기자료), 논문Sub
6. 모의고사
강의는 듣지 않더라도 신림동 복사집에서 모의고사는 꼭 구하셔서 다양한 강사들의 문제를 풀어보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각 학교별 고시반 특강자료나 모의고사를 구해보시는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